Untitled Document
|
Untitled Document
|
|
|
 |
 |
|
 |
정밀안전진단 대상 및 지침(시행근거) |
|
법령에 의한 1종 대상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은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3조제1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고시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점검지침(건설교통부고시 제2003-170호, ’03.7.4 ; 이하 “지침”이라 한다)과, 동지침에 의거해 발행 배포된 건축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점검 세부지침(건설교통부,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, 2003.12 ; 이하 “세부지침”이라 한다)에 따라 실시한다. |
|
|
대상시설물 |
|
10년 경과된 1종 시설물
(공동주택 제외) |
※ 관련법 : 시특법(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)
※ 최초는 준공일을 기준하며, 이후는 전회 정밀안전진단일을
기준하여 시행주기를 산출함
※ 종합평가 : A~E 등급으로 5단계 평가 |
법정실시주기 |
A 등급 : 6년에 1회
B~C 등급 : 5년에 1회
D~E 등급 : 4년에 1회 |
실시결과조치 |
실시결과 FMS 등록 및 승인절차 요함
E-보고서의 제출 |
※ 한국시설안전공단 및 국토해양부에서 실시결과
평가규정에 준하여 평가함 |
|
|
|
|
 |
구조설계 개과업 진행절차 |
|
 |
1단계(결정단계) : 견적의뢰 → 현장방문 → 자료확인 및 절차, 과업지시서(발주처) 검토 → 견적 → 계약 → 일정협의 |
 |
2단계(과업단계) : 사전예비조사후 사전검토서 제출 → 본조사 실시 → 보고서 작성 → 성과품 납품 |
 |
3단계(조치단계) : FMS 입력 및 E-보고서 제출 → 완료 |
※ 관리주체가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을 의뢰하고자 할 때에는 지침상의 별지 제1호, 제2호 서식에 의한다. |
|
|
|
|
 |
E-보고서 제출서류 |
|
 |
관련서류 : 과업지시서, 사전검토 보고서, 계약서 |
 |
성 과 품 |
|
- 보고서(PDF 파일) |
- 부록(PDF, JPG) : 상태평가입출력자료, 외관망도, 비파괴조사위치도, 사진첩, 시험데이터 자료 등 |
|
|
|
|
 |
정밀안전진단 기본과업내용 |
|
|
과업항목 |
성능저하 현상 |
|
자료수집 및 분석 |
준공도면, 구조계산서, 특별시방서, · 시공 · 보수 · 보강도면, 제작 및 작업도면
재료증명서, 품질시험기록, 재하시험 자료, 계측자료
시설물 관리대장
기존 안전점검,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 검토 및 분석
보수, 보강이력 검토 · 분석 |
현장조사 및 시험 |
전체부재의 외관조사 및 외관조사망도 작성
- 콘크리트 구조물 : 균열, 누수, 박리, 박락, 층분리, 백태, 철근노출 등
- 강재 구조물 : 균열, 도장상태, 부식 및 접합(연결부)상태 등
현장 재료시험 등
- 콘크리트 비파괴강도(반발경도시험, 초음파 전달 속도시험 등), 탄산화 깊이 측정,
염화물 함유량 시험
- 강재 시험 : 강재 비파괴시험(시험량, 시험부위 등) |
상태평가 |
외관조사 결과분석
현장시험 및 재료시험 결과 분석
콘크리트 및 강재 등의 내구성 평가
부재별 상태평가 및 시설물 전체의 상태평가 결과에 대한 소견 |
안전성 평가 |
조사, 시험, 측정결과의 분석
기존 구조계산서 또는 안전성평가자료 검토 · 분석
내하력 및 구조안전성 평가
시설물의 안전성평가 결과에 대한 소견 |
종합 평가 |
시설물의 종합평가 결과에 대한 소견
안전등급 지정 |
보수, 보강방법 |
보수 · 보강 방법 제시 |
보고서 작성 |
CAD도면 작성 등 보고서 작성 |
|
|
|
|
 |
조사표본층의 선정 및 시험수량 산출예시 |
|
시특법상의 정밀안전진단 및 정밀점검은 관련 세부지침 기준을 적용하여 아래 예시와 같이 조사 표본층과 각 항목별 조사수량을 산출하여 현장조사하여야 그 최소수량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. |
|
 |
|
|
|
 |
시험항목별 조사장비 |
|
|
정밀안전진단 |
사용장비 목록표 |
구 분 |
조사항목 |
내 용 |
|
구조
안전성 |
부재내력 |
기둥, 벽, 보, 슬래브 등의 내력검토
(도서) |
MIdas Gen, Midas SET |
|
R.C조
S.R.C
조적조 |
콘크리트 강도 및 규격 |
콘크리트 압축강도
기둥부재간격 및 부재규격 |
Schmidt Hammer NR-Type
레이저거리측정기, 줄자 |
철근배근 상태 |
철근배근 간격, 피복두께 |
Ferroscan FS 10 System |
균열 |
균열폭, 면적률 |
줄자, 사진기, 균열현미경, 망치
CRACK MONITOR |
표면 노후화 |
박리, 박락, 누수 · 백태, 철근노출 |
페놀프탈레인 1% 용액
버니어캘리퍼스, 36V 충전해머드릴 |
콘크리트 탄산화 |
탄산화 진행깊이 |
페놀프탈레인 1% 용액
버니어캘리퍼스, 36V 충전해머드릴 |
철근 및 접합재 부식 |
철근 및 접합재 부식상태 및
부식환경 |
철근부식도 측정기 : Half cell
취약부 파취후 부식상태 육안확인, |
염화물함유량 |
염화물이온 함유량 |
염분함량시험기 CL-3727 |
|
ST'L |
강재의 규격 |
강재강도 및 부재규격 |
줄자, 버니어캘리퍼스(0.01㎜ 측정) |
용접 접합상태 |
용접부 결함 |
염색침투탐상액, 자분탐상기 |
볼트 접합상태 |
볼트 누락, 풀림, 이완 |
검사용 토크렌치 |
강재의 부식도 |
방청과 강재부식 |
육안검사 및 초음파 강재두께측정기 |
접합재 부식도 |
용접 및 볼트접합부 부식 |
내화피복 |
내화피복 두께 및 손상 |
버니어캘리퍼스 0.01㎜ 측정단위 |
|
변위ㆍ변형 |
기울기 |
건물 기울기 |
NiIKON DIGITAL THEODOLITE NE-20SE |
기초 침하 |
부동침하 |
AUTO LEVEL (Sokkia-C32) |
|
|
|
|
 |
시험항목별 조사장면 |
|
 |
|
|
|
Untitled Document
|